124. R. Saroha, J. H. Oh, J. S. Lee, Y. C. Kang, S. M. Jeong, D.-W. Kang, C. Cho, and J. S. Cho*, "Hierarchically porous nanofibers comprising multiple core–shell Co3O4@graphitic carbon nanoparticles grafted within N-doped CNTs as functional interlayers for excellent Li–S batteries", (2021) (Submitted)
124. R. Saroha, J. H. Oh, J. S. Lee, Y. C. Kang, S. M. Jeong, D.-W. Kang, C. Cho, and J. S. Cho*, "Hierarchically porous nanofibers comprising multiple core–shell Co3O4@graphitic carbon nanoparticles grafted within N-doped CNTs as functional interlayers for excellent Li–S batteries", (2021) (Submitted)
124. R. Saroha, J. H. Oh, J. S. Lee, Y. C. Kang, S. M. Jeong, D.-W. Kang, C. Cho, and J. S. Cho*, "Hierarchically porous nanofibers comprising multiple core–shell Co3O4@graphitic carbon nanoparticles grafted within N-doped CNTs as functional interlayers for excellent Li–S batteries", (2021) (Submitted)
123. J. S. Lee, R. Saroha, S. H. Oh, D. H. Shin, Y. C. Kang, S. M. Jeong, J. K. Kim*, and J. S. Cho*, "Rational design of perforated bimetallic (Ni, Mo) sulfides/N-doped graphitic carbon composite microspheres as anode materials for superior Na-ion batteries", (2021) (Submitted)
123. J. S. Lee, R. Saroha, S. H. Oh, D. H. Shin, Y. C. Kang, S. M. Jeong, J. K. Kim*, and J. S. Cho*, "Rational design of perforated bimetallic (Ni, Mo) sulfides/N-doped graphitic carbon composite microspheres as anode materials for superior Na-ion batteries", (2021) (Submitted)
118. R. Saroha, J.-H. Ahn, J. S. Cho*,"A Short Review on Dissolved Lithium Polysulfide Catholytes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2020) (Submitted)
118. R. Saroha, J.-H. Ahn, J. S. Cho*,"A Short Review on Dissolved Lithium Polysulfide Catholytes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2020) (Submitted)
118. R. Saroha, J.-H. Ahn, J. S. Cho*,"A Short Review on Dissolved Lithium Polysulfide Catholytes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2020) (Submitted)
118. R. Saroha, J.-H. Ahn, J. S. Cho*,"A Short Review on Dissolved Lithium Polysulfide Catholytes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2020) (Submitted)
118. R. Saroha, J.-H. Ahn, J. S. Cho*,"A Short Review on Dissolved Lithium Polysulfide Catholytes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2020) (Submitted)
118. R. Saroha, J.-H. Ahn, J. S. Cho*,"A Short Review on Dissolved Lithium Polysulfide Catholytes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2020) (Submitted)
118. R. Saroha, J.-H. Ahn, J. S. Cho*,"A Short Review on Dissolved Lithium Polysulfide Catholytes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2020) (Submitted)
118. R. Saroha, J.-H. Ahn, J. S. Cho*,"A Short Review on Dissolved Lithium Polysulfide Catholytes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2020) (Submitted)
118. R. Saroha, J.-H. Ahn, J. S. Cho*,"A Short Review on Dissolved Lithium Polysulfide Catholytes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2020) (Submitted)
118. R. Saroha, J.-H. Ahn, J. S. Cho*,"A Short Review on Dissolved Lithium Polysulfide Catholytes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2020) (Submitted)
118. R. Saroha, J.-H. Ahn, J. S. Cho*,"A Short Review on Dissolved Lithium Polysulfide Catholytes for Advanced Lithium-Sulfur Batteries", (2020) (Submitted)

Nano Composite Materials Lab.
Prof. Jung Sang Cho
Since 2016.09
Department of Engineering Chemist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025.02.25
이재섭 학생이 "BK21 우수성과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4.12.31
조중상 교수님께서 대학 발전과 연구 활성화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피인용 최우수 교원'으로 선정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4.12.10
정재인, 이수민, 안현선 학생이 제10회 "실험실창업페스티벌 <LAB START-UP> 창업탐색팀 전시 부문"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4.11.21
염혜원, 곽영신, 배정인, 나윤수, 박선종 학생이 "Capstone Design 경진대회"에서 "장려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4.11.15
오건희, 조범수 학생이 2024학년도 "한국화학공학회 추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안현선 학생이 우수 구두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4.10.18
유동국 학생이 2024학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Materials and Technology"에서 발표한 논문으로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4.09.26
가혜선, 안현선 학생이 2024학년도 "한국 청정기술학회 추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4.09.26
이재섭 학생이 2024학년도 "한국 청정기술학회 추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우수 구두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4.09.26
조중상 교수님께서 한국청정기술학회의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인송 신진학술상을 수상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4.04.26


충북대학교(총장 고창섭) 공업화학과 조중상 교수 연구팀이 진행한 연구결과가 슈프링어(Springer)에서 발간하는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Advanced Composites and Hybrid Materials(재료과학분야 상위 1.8%, 평균인용지수(IF) 20.1)'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그래핀과 Sb2Se2.2 나노결정으로 구성된 3차원 구조체를 차세대 리튬-황 전지로 적용한 결과로, 4.0C[1.0C=1675 mA/g]의 높은 전류밀도에서 천번이 넘는 충방전에도 불구하고 90% 이상의 용량 유지율과 높은 출력 및 수명 성능을 보였다. 이는 기존의 상용 리튬이온 전지를 대체할 수 있는 차세대전지로서 리튬-황 전지의 상용화를 위한 새로운 구조체적 접근법을 성공적으로 제시한 연구로 평가받는다.
한편 이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집단연구사업인 지역혁신 선도연구센터(RLRC)사업과 스마트 에너지 인력양성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연구진으로는 임동희 환경공학과 교수와 공동연구로 진행됐으며, 사로하 라케시 박사후연구원, 이재섭(박사 3년), 조성우(석사 2년), 환경공학과 신동윤 박사후연구원이 참여했다.
2024.04.11
산업통상자원부 주관 에너지기술 공유대학 인력양성사업 (충북대 책임자-조중상 교수) 참여대학 선정



2024.03.28
조중상 교수님께서 한국청정기술학회의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공로상을 수상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4.02.22
김정연 학생이 2024학년도 "The 11th Vietnam-Korea Green Chemistry Conference"에서 발표한 논문으로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4.01.31
Rakesh Saroha 박사, 최현호 학생이 뛰어난 연구업적을 인정받아 충북대학교 "2023년도 명예의 전당 우수연구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2023.12.29
조중상 교수님께서 대학의 산학연협력분야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산학연협력 유공자"에 선정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3.11.24
조범수, 유동국, 이태호, 강민구, 박수현 학생이 "Capstone Design 경진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3.10.27
이재섭 학생이 2023학년도 "한국화학공학회 가을 총회 및 학술 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으로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3.09.27
조중상 교수님께서 충북대학교 개교 72주년 기념식에서 "학술연구분야 CBNU-GALAXIA"에 선정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3.09.25
Certificate of appreciation Highly cited article, For publishing research in the top 10% of highly cited works from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Journals

2023.09.22
정도원, 조성우 학생이 2023학년도 "한국청정기술학회 추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3.05.11
조중상 교수님께서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저널의 "Best Paper Award in 2023" 를 수상하였습니다.

2023.04.21
백건우 학생이 2023학년도 "한국화학공학회 춘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3.03.23
최현호 학생이 2023학년도 "한국 청정기술학회 춘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3.02.10
(2023 충북대학교 산학협력의 날) 조중상 교수님께서 2022년 기술이전 수입료 부문, 우수한 성과창출을 인정받아 "충북대학교 2022년도 기술이전 수입료 부문 우수상"을 수상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EC%82%B0%ED%95%99%ED%98%91%EB%A0%A5%EC%9D%98%20%EB%82%A0-%EA%B8%B0%EC%88%A0%EC%9D%B4%EC%A0%84%EB%B6%80%EB%B6%84.jpg)
2022.11.30
백건우, 오건희, 가혜선, 김정연, 안현선 학생이 "Capstone Design 경진대회"에서 각각 "최우수상"(백건우, 오건희), "장려상"(가혜선, 김정연, 안현선)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2.11.11
이재섭 학생이 2022학년도 "한국화학공학회 가을 총회 및 학술 대회"에서 발표한 논문으로 우수 구두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2.10.26
조중상 교수님께서 한국화학공학회 "2022년도 화공학회 범석 논문상"을 수상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2022.09.22
이재섭 학생이 2022년도 "한국청정기술학회 추계 학술발표회"에 참여하여 논문 발표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2.08.30
이재섭 학생이 2022년도 "한국화학공학회 에너지환경부문위원회 워크샵"에 참여하여 최우수 구두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2.08.26
김찬식 학생이 2022년도 "충청북도 기업수요맞춤형 이차전지 전문인력 양성사업 워크샵"에 참여하여 우수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2.05.30


[베리타스알파=신승희 기자] 충북대가 5월 달 '이달의 연구자'로 공업화학과 조중상 교수를 선정했다고 30일 전했다.조중상 교수는 "나노구조체 설계라는 공동목표를 갖고 함께 연구에 매진하는 실험실 내 연구원과 대학원생들이 함께하였기에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었다. 다양한 구조체적 접근법을 상용화 관점에 적용하여 전지분야 뿐만 아니라 바이오, 센서, 촉매 등 다양한 분야로 연구분야를 확장해 나가겠다”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충북대는 연구성과가 우수한 연구자 발굴을 통해 연구자의 권위와 명예를 높이고, 자율적 연구환경 분위기 고취와 연구 경쟁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이 달의 연구자' 제도를 도입해 매달 선정하고 있다.



2022.05.17

충북대학교(총장 김수갑) 공업화학과 사로하 라케시(박사 후 연구원, 지도교수 조중상)씨가 진행한 연구가 존 와일리 앤 선즈(Wiley)에서 발간하는 저명한 학술지 스몰메소즈(Small methods, impact factor:14.188) 6월호에 게재 확정됐으며, 연구 결과의 중요성을 인정받아 표지논문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거뒀다.
이 논문은 “Nanofibers Comprising Interconnected Chain-like Hollow N-Doped C Nanocages as 3D Free-Standing Cathodes for Li-S Batteries with Super-High Sulfur Content and Lean Electrolyte/Sulfur Ratio(높은 황 함량 및 미량의 전해질 활용의 리튬-황 전지용 독립형 양극소재를 위한 상호 연결된 중공형 질소 도핑 탄소 나노케이지 복합 다공성 나노섬유의 설계)”의 연구다.
이 연구는 중공형 질소 도핑 탄소 나노케이지가 복합된 다공성 나노섬유를 설계하여 리튬-황 전지의 황 담지체로 적용 시 높은 면적당 용량을 보고했다. 또한 14.3 mg cm-2의 높은 활물질 로딩과 83 wt.%의 높은 황 함량, 6.8 μL mg-1의 미량의 전해질을 사용한 가혹한 조건에서도 130번의 충 방전 후 5.5 mA h cm-2의 높은 면적당 용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했다.
이는, 중공형 및 다공구조의 질소 도핑 탄소 나노케이지가 많은 양의 활물질을 담지할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충 방전동안 발생하는 활물질의 극심한 체적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했기 때문이다. 또한 리튬이온 및 전자의 빠른 확산을 위한 높은 전도성 경로를 제공하여 가혹한 조건에서도 높은 면적당 용량을 나타낼 수 있었다.
본 결과는 상용 리튬 이온전지를 대체가능한 리튬-황 전지의 실현가능성을 새로운 구조체적 접근법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재원으로 기초연구실지원사업 및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기업수요맞춤형 이차전지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2022.05.02



[장한별 기자] 충북대학교(총장 김수갑)는 공업화학과 조중상 교수 연구팀이 진행한 연구가 스프링거 사이언스+비즈니스 미디어(Springer)에서 발간하는 저명 학술지 나노 마이크로 레터스(Nano-Micro Letters, impact factor:16.419)에 지난 4월 28일(목)자로 온라인 게재됐다고 2일 밝혔다.
조중상 교수가 주도하고 이재섭(석사 졸업, 제1저자), 사로하 라케시(박사 후 연구원, 제2저자)가 참여한 이 논문은‘Porous Microspheres Comprising CoSe2 Nanorods Coated with N-Doped Graphitic C and Polydopamine-Derived C as Anodes for Long-Lived Na-Ion Batteries (장 수명 특성의 소듐 이차전지의 음극소재로 질소 도핑된 결정질 탄소 및 폴리도파민 유래 탄소로 코팅된 CoSe2 나노로드 복합 다공성 마이크로스피어의 설계)’라는 제목으로 게재했다.
이 연구는 질소 도핑된 결정질 탄소 및 폴리도파민에서 유래된 전도성 탄소층이 코팅된 CoSe2 나노로드 복합 다공성 마이크로스피어를 설계하여 소듐 이차전지 음극소재로 적용 시 2.0 A g-1의 매우 높은 전류밀도에서 5000번의 충‧방전에도 불구하고 120 mA h g-1의 용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했다. 이는 기존의 상용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소재를 대체 가능한 소듐전지의 새로운 구조체적 접근법을 성공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한편,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재원으로 기초연구실지원사업 및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 기업수요맞춤형 이차전지 전문인력 양성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2022.04.21
Bio, Nano Technology 분야 신소재를 사업군으로 하는 (주)JSTECH Lab.이 한국기술보증기금의 TECH밸리 기업으로 선정되었습니다. 3,000,000,000자금이 확보되었습니다.


2022.03.24
김찬식 학생이 2022년도 "한국청정기술학회 춘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논문 발표 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2.01.25
Rakesh Saroha 박사가 뛰어난 연구업적을 인정받아 충북대학교 "2021년도 명예의 전당 우수연구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2021.12.21
NCM에서 연구해오던 독자적인 구조체 합성 및 공정기술을 바탕으로 Bio, Nano Technology 분야 신소재를 사업군으로 하는 (주)JSTECH Lab.을 설립하였습니다. 세상을 풍요롭게하는 혁신적인 제품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2021.11.05
이재섭 학생 외 2명이 "한국 세라믹학회 추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양송세라모그라피 우수 작품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EC%84%B8%EB%9D%BC%EB%AF%B9%ED%95%99%ED%9A%8C-%EC%96%91%EC%86%A1%EC%84%B8%EB%9D%BC%EB%AA%A8%EA%B7%B8%EB%9D%BC%ED%94%BC.jpg)
2021.09.14





2021.09.09
김찬식 학생이 "한국 청정기술학회 추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포스터 발표 최우수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1.07.27
-
한국연구재단 (NRF)의 기초연구실지원사업(후속)(2021.03.01~),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2021.06.01~),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사업(2021.06.01~) 에 선정되었습니다.
-
고용노동부 지역-산업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2021.06.01~)에 선정되었습니다.
-
BK21 글로벌 핵심리더 지원사업(2021.04.01~)에 선정되었습니다.
-
국립대학육성지원사업 리더연구자지원사업(2021.05.01~)에 선정되었습니다.
-
과기형창업선도대학사업 국가지정연구실사업(2021.08.01~)에 선정되었습니다.
2021.04.23
선영회 학생이 "화학공학회 춘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0.11.25
이재섭 학생이 "한국세라믹학회 추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여 우수논문 학회포스터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20.12.04
세계 학문분야별 상위 2% 과학자 선정


미국 스탠포드 대학교 연구팀이 Scopus 데이터를 사용하여 6개의 인용 지표를 고려하는 복합 지표의 순위를 기반으로 전 세계 학문분야별 상위 2% 과학자 명단을 발표한 결과로 지난 10월 16일(금)자로 게재된 ‘Updated science-wide author databases of standardized citation indicators’(https://doi.org/10.1371/journal.pbio.3000918)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스탠포드 대학교 연구팀은 연구자의 생애업적 부분과 2019년 단일 연도 부분으로 발표했다.
2019년 단일 연도 기준으로는 조중상, 노수영, 김범수, 권오민, 박진희, 백기엽, 홍진태, 김원재, 강성민, 최경철, 황방연, 양병도, 이스마일 무함마드(Ismail Muhammad) 등 161,441명 중 13명의 연구자가 선정됐다.
2020.10.04



[동양일보 조석준 기자]충북대 공과대학 공업화학과 조민수(석사졸업), 이재섭(석사1년)씨가 진행한 연구가 지난달 24일 존 와일리 앤 선즈(Wiley)에서 발간하는 국제학술지 스몰(Small, impact factor:11.459)의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Golden Bristlegrass‐Like Hierarchical Graphene Nanofibers Entangled with N‐Doped CNTs Containing CoSe2 Nanocrystals at Each Node as Anodes for High‐Rate Sodium‐Ion Batteries(강아지풀 형태의 CoSe2 결정을 포함하는 CNT로 얽힌 그래핀 나노섬유의 고율 나트륨전지 음극)’이라는 제목으로 게재된 이 연구는 그래핀 기반 섬유에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성장시킨 후 수 나노 크기의 전이금속 칼코겐화물을 탄소나노튜브 내에 포함시킴으로써 소듐이온 배터리로 적용 시 현저히 높은 출력특성을 보고했다.
또 연구팀은 10.0 A g-1의 매우 높은 전류밀도에서 1만번의 충·방전에도 불구하고 264mA h g-1의 용량을 지속적으로 유지함에 따라 기존의 상용 리튬이차전지의 음극소재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코발트 셀레나이드의 충·방전동안 발생하는 부피 변화를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탄소나노튜브가 수용해줌으로써 구조적인 안정성이 향상돼 1만 사이클의 긴 수명 특성을 나타낼 수 있었다. 무엇보다 전기전도성이 매우 높은 2차원의 그래핀을 1차원의 탄소나노튜브가 연결해주는 다리역할을 해줌으로써 전지의 충 방전 과정 중 효율적이며 매우 빠른 전자의 흐름이 가능할 수 있었기에 매우 높은 출력성능을 얻을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재원으로 기초연구실지원사업과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으며 충북대 조중상 공업화학과 교수와 정상문 화학공학과 교수가 연구전반을 주도했다.
출처 : 동양일보 '이땅의 푸른 깃발'(http://www.dynews.co.kr)



2020.09.12









2020.06.08
연구실 셋업 후 항상 꿈꾸던 FE-SEM (히타치)을 드디어 설치하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모두 즐거운 연구합시다~!

2020.06.02
이재섭 학생이 학부과정 동안 진행한 연구가 "Small (Impact Factor: 11.459) "에 accept 되었습니다. 이재섭 학생의 첫 논문(주저자 )을 축하합니다.

2019.12.23
2019년도 국제공동연구과제에 선정되었습니다. "바인더-프리 플렉시블 리튬황전지 개발" 과제를 수행합니다. (2019.12.23~2020.12.22)
2019.11.27
선영회, 이재섭 학생이 "2019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Capstone Design 경진대회"에서 각각 "대상" , "장려상" 을 수상하였습니다.




2019.09.01
2019년도 대학원 육성사업 대학간공동연구과제에 선정되었습니다. "10분 고속충전 및 200km 장거리 주행이 가능한 전기차용 황 배터리 개발" 과제를 수행합니다. (2019.09.01~)
2019.07.03
조중상 교수님외 멤버들이 "한국에어로졸 하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였습니다.
- 조민수 학생이 우수 논문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19.06.01
2019년도 LINC+ 사업단의 산학공동기술개발과제에 선정되었습니다. "스마트 경피 전달체를 위한 용해성 고분자 마이크로니들 패치 개발" 과제를 수행합니다. (2019.06.01~)
2019.05.01
조중상 교수님외 멤버들이 "한국공업화학회 춘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였습니다.
- 조민수 학생이 우수 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19.04.24
조중상 교수님외 멤버들이 "한국화학공학회 춘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였습니다.
2019.04.17
조중상 교수 연구팀, 고효율 휘어지는 배터리 개발



(KBS) (전자신문) (천지일보) (충청일보) (동양일보) (충청투데이) (충청매일) (국제뉴스) (연합뉴스) (충북일보) (중부매일) (대학저널) (아시아뉴스통신) (파이낸셜뉴스) (한국대학신문) (브레이크뉴스)
2019.04.11
오장혁 학생이 학부과정 동안 진행한 연구가 "Journal of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에 accept 되었습니다. 오장혁 학생의 첫 주저자 논문을 축하합니다. (Impact Factor: 4.841)
2019.03.26
"2018년도 한국과학창의재단 학부생연구프로그램 (URP,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최종평가에서 오장혁 학생이 진행한 "공극 내 주석입자가 포함된 다공성 탄소섬유의 이차전지용 고용량 음극소재 개발" 과제가 우수과제로 선정되었습니다.

2019.03.26
조중상 교수님외 멤버들이 "한국청정기술학회 춘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였습니다.
2019.01.11
충북세종상생발전협력단의 충북지역대학 간 공동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피부에 부착 가능한 stretchable 에너지 저장소자 개발" 과제를 수행합니다. (2019.01.11~)
2018.10.30
조중상 교수님외 멤버들이 "한국공업화학회 추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였습니다.
2018.10.23
- 학부연구생 이주호 학생 (4학년)이 진행한 이차전지 음극소재 관련 연구가 "Nanoscale"에 accept 되었습니 다. 이주호 학생의 첫 주저자 논문을 축하합니다. (Impact Factor: 7.233)

2018.09.14
조중상 교수님외 멤버들이 "한국청정기술학회 추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였습니다.
- 정순영 학생이 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18.07.01
Nano Research (Impact Factor = 8.515) 저널의 "Top Papers Award in 2018" 를 수상하였습니다.


2018.06.20
조중상 교수님 외 멤버들이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 하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였습니다.
- 조민수 학생이 우수포스터발표상을 수상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2018.06.20
조민수 학생이 학부과정 동안 진행한 연구가 "Nanoscale"에 accept 되었습니다.
조민수 학생의 첫 주저자 논문을 축하합니다. (Impact Factor: 7.233)



2018.06.19
정순영 학생이 학부과정 동안 진행한 연구가 "Chemical Engineering Jornal"에 accept 되었습니다.
정순영 학생의 첫 주저자 논문을 축하합니다. (Impact Factor: 6.735, 분야 Ranking: 상위 4.4%)
2018.06.19
한국과학창의재단의 학부생연구프로그램 (URP, Undergraduate Research Program)에 선정되었습니다. "공극 내 주석입자가 포함된 다공성 탄소섬유의 이차전지용 고용량 음극소재 개발" 과제를 수행합니다.
- 오장혁, 김성수, 박상현, 봉선종, 선영회 (2018.07.01~)
2018.05.18
한국연구재단 (NRF)의 개인기초 기본연구지원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Wearable 기기용 그래핀/CNT 기반의 중공구조 전이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1차원 구조의 flexible 리튬이차전지 음극소재 개발" 과제를 수행합니다. (2018.06.01~)
2018.05.08
한국연구재단 (NRF)의 기초연구실지원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인체부착형 stretchable 에너지 자립소자 원천기술개발" 과제를 수행합니다. (2018.06.01~)
2018.05.02
조중상 교수님 외 멤버들이 "공업화학회 춘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였습니다.
- 조중상 교수님께서 미원상사신진과학자상을 수상하셨습니다.
- 정순영 학생이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18.04.23
오세환 학생이 학부과정 동안 진행한 연구가 "Chemical Engineering Journal" 에 accept 되었습니다.
오세환 학생의 첫 주저자 논문을 축하합니다. (Impact Factor: 6.735, 분야 ranking: 상위 4.4%)



충청매일 :http://www.ccdn.co.kr/news/articleView.html?idxno=517255
충청투데이 : http://www.cc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134517
에듀동아 :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180502173313641306
2018.03.30
조중상 교수님 외 멤버들이 "청정기술학회 춘계 학술대회"에 참여하였습니다.
2018.03.01
"조민수, 정순영, 오세환" 학생이 학부과정을 마치고 석사과정으로 입학했습니다. 환영합니다.
2017.12.20
한국연구재단 (NRF)의 기후변화대응기술개발사업에 선정되었습니다. "웨어러블 기기용 플렉서블 PV-EES 융합 모듈 원천기술 개발" 과제를 수행합니다. (2017.12.20~2022.01.19)
2017.11.25
이주호 학생 외 3명이 "2017충북 창업 아이디어챌린지" 에서 "대상" 을 수상하였습니다.

2017.11.23
오세환, 조민수, 정순영 학생이 "2017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Capstone Design 경진대회"에서 각각 "대상" , "최우수상" , "장려상" 을 수상하였습니다.




2017.11.10
조중상 교수님 외 멤버들이 "공업화학회 추계 학술대회" 에 참석하였습니다.
2017.09.21
조중상 교수님께서 한국공학교육학회 주관 " 2017년 우수강의 교수상" 을 수상하셨습니다.


2017.02.20
조중상 교수님, 2016학년도 강의우수교원으로 선정되었습니다.
